한글 파일을 이용하다보면 한번쯤 작업물이 날아가는 경험을 하시게 됩니다. 이런 경험은 굉장히 절망스러우실 텐데요. 이때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한글의 자동 저장 기능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 자동 저장 기능을 관리하는 법과 자동 저장 파일의 위치를 알려드리겠습니다. 또한 자동 저장이 되지 못 하여 파일이 손실되었을 때 도움이 될 외부 프로그램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![한글 자동 저장 파일 위치](https://4ddig.tenorshare.com/kr/images/article/office-recovery/hangul-recovery/hangul-temporary-file-location.jpg?w=540&h=304)
파트1: 한글 자동저장 기능이 왜 필요한가요?
한글 자동저장 기능은 사용자에게 중요한 데이터 보호 수단을 제공합니다. 작업 도중 컴퓨터가 갑자기 충돌하거나 전원이 꺼지는 경우,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문서가 손실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은 주기적으로 문서의 임시 파일을 자동으로 저장해두어, 프로그램이 갑자기 종료되더라도 이전 작업을 복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.
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파일을 닫아버리는 상황에서도 자동저장된 임시 파일을 통해 중요한 작업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자동저장 기능은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데이터를 보존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고, 사용자의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.
파트2: 자동저장 기능 설정 및 해제하는 방법
자동저장 기능 설정하는 방법
한글 프로그램에서 자동저장 기능을 설정하려면, 한글의 환경 설정 메뉴에서 "파일" → "복구용 임시 파일 자동 저장" → "자동 저장 설정"**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저장 주기를 선택합니다. 자동 저장 간격을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문서가 임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.
자동저장 기능 해제하는 방법
반대로 자동저장을 비활성화하고자 한다면, 동일한 메뉴에서 자동 저장 옵션의 체크 박스를 해제하면 됩니다. 자동 저장 기능의 활용 여부는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.
![한글 자동저장 기능 해제하는 법](https://4ddig.tenorshare.com/kr/images/article/office-recovery/hangul-recovery/how-to-release-auto-save.jpg?w=540&h=493)
파트3: 한글 자동저장 임시 파일의 위치
3.1 한글 임시 파일이란 무엇인가요? 보통 무슨 파일 형식으로 저장되나요?
한글 임시 파일은 작업 중 자동으로 생성되는 임시 저장 파일입니다. 주로 .asv 형식으로 저장되며, 실수로 파일이 닫혔거나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 복구할 수 있는 임시 데이터입니다.
3.2 한글 임시 파일의 위치
한글 임시 파일은 사용자가 설정한 경로에 저장되거나, 기본적으로 C:\Users\사용자명\AppData\Local\Temp 폴더에 위치합니다. 저장 위치를 확인하려면 우측 상단의 [?] 버튼을 클릭한 다음, 한글 정보 (A)로 갑니다. 다음으로 폴더 정보 > 임식 파일에 나타난 파일 경로가 한글 임시 파일의 위치입니다.
![한글 자동저장 임시 파일의 위치](https://4ddig.tenorshare.com/kr/images/article/office-recovery/hangul-recovery/hangul-temp-file-location.jpg?w=540&h=416)
파트4: 한글 파일 저장되지 않을 때 복구하는 방법 - 4DDiG
한글 파일이 저장되지 않았을 때 데이터를 복구하려면 4DDiG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와 같은 믿을 수 있는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 이 프로그램은 삭제되었거나 손상된 파일을 간편하게 복구할 수 있는 도구로, 한글 파일뿐 아니라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합니다. 4DDiG를 사용하여 실수로 삭제된 파일이나 예상치 못한 문제로 손상된 파일을 스캔하고 복구하여 손실된 데이터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.
4DDiG를 사용하여 저장되지 않은 한글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
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파티션 연결
먼저 4DDiG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다운로드하여 실행을 합니다. 한글 파일이 저장되었던 위치를 컴퓨터와 연결합니다. -
한글 파일 스캔
연결 후 한글 파일이 분실되는 파티션을 선택하여 스캔 을 클릭하여 프로세스를 시작합니다. 여기서 파일 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면 문서 유형만 선택하면 신속하게 해당 유형의 파일들이 스캔됩니다. -
미리보기 및 복구
스캔이 완료되면 복구하려는 한글 파일을 미리볼 수 있습니다. 파일을 선택하고 " 복구 "를 클릭하여 컴퓨터의 안전한 위치에 저장하면 한글 파일이 성공적으로 복구됩니다.참고:
원래 저장 위치에 저장하면 데이터가 덮어쓰일 수 있으니까 원래 저장 위치를 지정하지 마세요.
마무리
한글의 자동저장 기능은 중요한 데이터를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부터 보호하고, 작업 중단 후에도 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돕는 필수적인 기능입니다. 특히 소중한 문서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면 자동저장을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저장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만약 파일이 손상되거나 삭제되었다면 4DDiG와 같은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